
BLIND.
난 아직 나를 잘 모릅니다.
내가 무엇을 더 어떻게 할 수 있을지? 그 가려진 가능성을 찾고 있을 뿐입니다.

GRAND HILL
w1,500 X D2,400 X H1,020
Stainless steel, Bronze, Hardwood
Desk I 2016
“수평이 주는 지루한 안정감을 탈피하고, 불안하지만 역동적인 형태적 조형성을 찾는다”
그랜드 피아노는 놓일 공간의 가치와 형태적, 기능적 예술 가치 그리고 피아니스트 곧 사용자의 가치가 하나가 되어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오브젝트다. 또한 여성의 전유물이 되어버린 ‘Hihg Heel’은 디자인과 높이에 따라 그 성격과 성향을 대변하고 자기 자신을 가장 잘 들어내는 치장물 중 하나다. 이 두 가지 모티브로 인해 형태적인 조형성을 부각시키며 ‘Grand piano’의 우아함과 조화로움 그리고 High Heel’ 의 자신감과 긴장감을 하나의 작품에 고스란히 담아 표현했다. 이에 작품명은 ‘GRAND HILL’ Heel의 같은 발음인 Hill을 적용했으며, 직선적이고 불안한 형상 위에 가려진 원목 상판이 마치 거친 언덕 위의 반석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Grand Hill(작품명)은 사선의 아찔하고 긴장감 넘치는 선들이 이어져 의외의 아름다운 볼륨을 만들어 낸다.
날카로운 선들이 만들어 내는 우아한 형태적 자존감 그리고 그로 인한 사용자의 자신감이 현 작품에 있어 큰 의미가 되었다.

HORN
W4,000 X D1,500 X H920
Bubinga, Brass sheet
Sofa I 2016
동물의 뼈나 뿔은 원시시대부터 꾸준히 인간의 장신구나 상징물로 쓰여왔다. 뿔을 가진 동물에게 있어서 뿔은 자신을 보호하거나 자위를 위한 하나의 생필 요소다. 인간이 자신을 치장하기 위해 빼앗고 소유한 뿔을 이젠 거대한 형상으로 우리 앞에 가져다 놓는다. 그것은 인간의 소유로서의 뿔이 아닌 공존의 개념으로 인간이 그 뿔 주변으로 모이고 또 잠시 머물고 그리고 그 안에서 다시 이야기가 시작된다.
뿔의 아름다운 조형적 성숙미를 작품에 반영하되 너무 무거워 보이지 않게 유려한 선들이 모이고 퍼지며 음악의 리듬이 흐르는 느낌을 조형적 언어로 풀어 놓았다. 전체 Body는 표현에 집중할 수 있는 동판 단조(용접)로 그리고 최소의 기능적 부분인 Seat는 문양이 화려하고 아름다워 고급 악기나 가구에 많이 쓰이고 있는 원목인 부빙가(Bubinga)를 사용했다.

Our
Story
OPEN YOUR EYES
W665 X D600 X H1,600
A.B.S & Paint, Velvet
Storage I 2019
우리가 마주했던 수없이 많은 시각적인 것들에 관해서...
처음 맞이하는 세상,
처음 마주치는 상황,
처음으로 미치도록 찾고 싶었던 호기심,
그리고...
처음으로 경험했던 색다른 감정, 사랑.
일종의 이런 말랑한 감정들을 우리는 살아가며 수없이 마주한다.
난 내가 할 수 있는 한 이것들을 영원히 기억하고 싶다.
인간의 저장 장치인 뇌가 아닌 처음으로 내가 바라본 눈 안에서 직관적인 순간을 여과 없이 기억하고 싶어졌다.
눈 뜨고
눈 안 가득 담아
눈 속에서 영원히 간직해라!

Let's Think
W2,400 X D800 X H720
Stainless steel, Hard woods, Chinese ink, Varnish
Table I 2020
우리 한번 생각해 보자!
“서로 손을 모으고 맞대어 생각해 보자.”
‘우리’란 공동체적 발상이 가장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다.
서로 맞닿은 양손과 나와 다른 누군가의 손이 맞닿은 조형적 형태를 모티브로 테이블 다리로 만들었다. 그 위에선 서로의 수평적 사고(상판)가 만나고 모이고 또 재생산되어 이제 우리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게 될 것이다.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형태를 볼 수 있는 다리는 때로는 묵직한 바침이 되고 때로는 유려한 아치가 된다.
Ver. 1.0
상판은 하드우드 2종(아프젤리아, 보세) 을 집성해 오일 마감했고, 다리는 스틸로 제작해 녹을 입혔다.
Ver. 2.0
상판은 하드우드(레드오크)에 먹칠 도색 후 바니쉬로 마감, 다리는 스테일리스 스틸로 제작했다.

HIGH HEELS 2017
W550 X D600 X H850
Stainless steel, Hard wood
Single Chair I 2017
2016년 처음으로 설계한 예술을 담은 '조형미관'
이 해는 내 생에 가장 특별한 해가 되었다.
이는 2년의 과정을 통해 조형가구 작가로서 등단전을 마치고 바로 시작된 공간 프로젝트였고 이것은 나의 공간이 되었다.
조형으로 가득찬 이 특별한 공간에 나의 가구로 채우고 싶은 욕구가 차올랐고 조형가구 작가 등단전에 출품했던 'GRAND HILL'을 확장시켜 총 45점의 조형가구를 만들었다.
지금은 성한 곳이 하나도 없는 빈티지한 조형가구로 되어버렸지만 2016년 그해 오픈 기념 개인전 'High Heels 2017'은 잊을 수 없는 행복한 시작이 되었다.

scene BLACK
블랙: 색의 시작.
내가 조형가구 작가로서 나름의 삶에 반영하며 살아온 지가 어느덧 6년 째가 되어간다.
공간과 가구 그리고 예술이란 영역은 나에게 아주 큰 영감이자 행복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게 하고 여전히 내가 흥분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일 수도 있다. 조형가구 작가라는 타이틀을 가질 수 있었던 것도 어쩌면 공간 속에 있는 예술을 사랑하면서 자연스럽게 선택하게 되었던 것 같다.
처음 조형가구를 알게 되고 앞으로 조금 더 특별한 삶을 상상하게 되었던 그 때가 정말 생생하다. 그리고 그 작은 결실로 시작된 ‘조형미관’이란 이름의 공간도 어느새 막 5년이 넘어가고 있다.
결코 짧지 않은 시간동안 난 또 무엇을 했을까? 지극히 개인적인 철학을 만들고 쌓고 또 세상에 꺼내 보여야 하는 작가로서의 삶을 난 어떻게 살아왔는가? 가끔씩 스스로에게 묻는 이런 질문들이 나를 더 움직일 수 없게 하는 것만 같았다. 나의 색은 무엇인가? 내가 좋아했던 선명한 색깔들이 이젠 꼭 집어 말할 수 없은 색상으로 변했고 나의 작업도 역시 그 과정에 있다.
나를 더 모호하게 하고 힘들게 하는 자문들을 잠깐 멈추고 난 다시 현재의 나를 표현한다. 제각각 다른 성질의 질감과 색상을 가진 바탕에 검은색을 입힌다. 언제나 그렇듯 검은색을 입히는 첫 터치는 찰나의 후회를 동반한다. 강한 것은 짓 누르고 약한 것은 한없이 무치게 하는 돌이킬 수 없는 색, 그렇지만 어떤 색이라도 받아들이고 더욱더 선명하게 만들어 주는 색. ‘블랙’.
이 색을 난 모든 색의 시작이자 가장 순결한 색상이라고 이야기한다.

BLACK CUBE
W900 X D900 X H750
Hard wood, Chinese ink, Varnish
Table & Chair Set I 2022
블랙 큐브 모듈형 테이블 세트.
‘scene Black’ “내가 블랙으로 연출한 하나의 장면”이란 조형가구 시리즈의 하나.
예술을 향유하는 공간을 위해 디자인된 테이블. 전시를 할 땐 조형물을 설치하는 좌대로, 때론 의자를 꺼내 함께 앉아 소통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작품.

Arch TABLE & BENCH
W900 X D900 X H750
Hard wood, Chinese ink, Varnish
Table & Chair Set I 2022
한국 건축물의 구조적 형태적 형상을 모티브한 테이블과 벤치.
‘scene Black’ “내가 블랙으로 연출한 하나의 장면”이란 조형가구 시리즈의 하나.
우리 고유의 선은 빼어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가장 세계적인 것은 우리 것으로부터 시작되고 그 선들을 우리 건축물에서 찾았다. 간결한 직선과 일부 적용된 유선이 어우러져 하나의 건축물 되어 자리하고 있다.

Design of The Space
JO HYUNG MI KWAN
조형미관(2017)
2017년 11월 1일에 문을 연 '조형으로 이뤄진 작은 미술관' 조형미관은 '우리의 일상에 조형성을 더해 예술적 가치를 높이다"란 컨셉의 갤러리 & 아트 스페이스이며 에세스 그룹의 첫 번째 공간 프로젝트다.

Design of The Space
JO HYUNG MI KWAN 2023
조형미관 B1 확장(2023)
2023년 8월 24일 개관 기념 전 ' 조형미관 매니페스토'를 시작으로 새롭게 확장된 공간이 오픈했습니다.
1층 조형미관 내부에서 지하 1층으로 연결된 계단을 만들어 확장된 공간으로의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공간은 총 3개의 쓰임과 형태로 구분되었는데 첫 번째는 다목적 행사 및 전시를 할 수 있는 공간이고 두 번째 공간은 전용 화이트 큐브 형태의 갤러리 룸으로 지속적인 전시 콘텐츠를 이어갈 수 있도록 했으며 세 번째 공간은 대관에 필요한 메이크업 룸 & 연기자 대기실을 만들어 촬영에 용이하도록 했습니다.
조형미관은 이제 여러 가지 형태의 예술 콘텐츠를 만들고 향유할 수 있는 완전체로서 더 큰 가치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모든 가구는 원목으로 제작되었으며 때에 맞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